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세계 부동산 큰손이 최근엔 일본으로 몰리고 있습니다.<br><br>미국 부동산이 금리와 환율이 올라가면서 투자 매력이 떨어진 데 반해 일본 부동산은 매수 구간에 진입했다, 판단하는 건데요.<br><br>오랜 침체로 부동산 규제가 심하지 않은데다 여전히 국제도시이고, 무엇보다 역사적인 ‘엔저’가 큰 동인이 되고 있습니다.<br><br>세계를 가다 김민지 특파원이 현지에서 전해왔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도쿄 중심가에 최적의 교통입지를 자랑하는 32층 복합빌딩이 우뚝 서있습니다.<br><br>일본 정부가 이곳의 매각을 추진 중인데, 골드만삭스 등 세계 최고 부동산 회사 10여 곳이 참여했습니다.<br><br>도쿄에서 가장 비싸게 팔린 빌딩보다 더 비싸게 팔릴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><br>이번달 들어 엔화 가치가 2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자 일본 자산을 헐값에 사려는 투자자들이 몰린 겁니다.<br><br>강력한 자국 방역 지침 탓에 일본 방문이 힘든 중국이나 홍콩 자산가들은 매물을 직접 보지 못해도 선뜻 돈다발을 내놓습니다.<br><br>[크리스 / 일본 부동산 매매 컨설턴트]<br>"온라인 투어로 소개하고 있어요. 3개월 전보다 20%나 저렴해졌죠. 일본은 당신이 부동산을 사도 일본인이 산 것과 똑같아요."<br><br>지난해 올림픽 선수촌이 들어서며 인기가 높아진 타워 맨션 주택가를 찾았습니다.<br><br>청소를 마친 빈집이 새 주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.<br><br>[현장음]<br>"구멍을 뚫어서 액자를 거는 게 아니라 저 위에 줄을 달아서…"<br><br>87㎡ 구조로 침실 3개가 있는 주택의 가격은 12억 원 정도.<br><br>2년 전 이 집을 사려면 14억 4천만 원 이상 필요했습니다.<br><br>감가상각이 있어 큰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순 없지만 임대 수익은 충분합니다.<br><br>[나은선 / 일본 부동산 회사 소속 공인중개사]<br>"월세 수익은 3~4% 정도이지만 도쿄 중심부 뿐 아니라 오키나와, 오사카 등 유명 관광지 주변도 많이 문의가 오고 있습니다."<br><br>[김재혁 / 일본 중소형 맨션 4채 소유]<br>"시세보다 저렴하고 출구전략이 확실하다면 투자해도 좋은 부동산이 되겠습니다."<br><br>10억 원대 꼬마빌딩도 도쿄에서는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.<br><br>11억 원 정도인데 6가구가 살 수 있고 임대 수익률이 5.4% 정도 됩니다.<br><br>[백 승 / 일본 신주쿠 5층 꼬마빌딩 보유]<br>"5% 넘는 (임대)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 엔저 효과가 있어서 수익률이 더 좋아졌기 때문에 추가로 투자할 계획이 있습니다."<br><br>다만, 맹목적인 일본 부동산 매수는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><br>[백 승 / 일본 신주쿠 5층 꼬마빌딩 보유]<br>"(일본어를) 잘못 이해하는 부분이 생기면 큰 실수가 될 수도 있고요. 무작정 수익률만 보고 들어간다는 것은 무모한 결정입니다."<br><br>1990년대 자산 버블 이후 주택 가격이 폭락했던 일본.<br><br>그러나 부동산 가격의 안정세와 역대급 엔저 현상으로 올해 10조 원 가까운 뭉칫돈이 전세계에서 몰릴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>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민지입니다.<br><br>김민지 도쿄 특파원<br><br>영상취재: 박용준<br>영상편집: 최창규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ettymom@donga.com